ㄹ흥미ㅁ17 [역사] 악플에 대처하는 연산군의 자세 '임금을 시해하는 도가 전에도 있었으니가없은 백성들아 나의 의병을 따르라' 어느 날 성 안으로 날아든 화살, 거기엔 연산군을 저격한 익명서가 있었다.즉 연산군 앞으로 악플(시간계서)이 달린 것.※ 화살에 매달려있는 익명서의 형태를 시간계서라고 한다.익명서 사건으로 크게 분노한 연산군.자신이 나쁜 정치를 하고 있지만 악플엔 민감했다.(연산군을 시해하자는 내용이었으니 민감할 수 밖에 없지만) '누가 감히 이런 불경한 짓을?!' 익명으로 된 악플은 연산군의 화를 돋우게 되고그 범인을 잡기 위해 필적조사를 명령하고도망가지 못하게 성 안의 사대문을 닫아버린다. 하지만 그것은 새 잡겠다고 대포를 쏘는 격.범인 한 명 잡기 위해 나라 전체를 괴롭히고그로인해 민심은 잃고 신하들에게 불신만 키웠다. 불난 데 기름부은 익.. 2024. 12. 3. [역사] 정약용, 너 나랑 일 하나 하자 by.정조 1783년 2월, 세자책봉을 기념해 생원진사과 시험이 열렸다전국의 수많은 유생들이 공무원(?)의 꿈을 꾸며 모였고22살의 정약용 역시 그 곳에 있었다완벽한 답안지를 써 성균관에 입학하게 된 정약용그 기쁨도 잠시,+임금님이신 정조께서 격려차 너무 자주 오심 ㅠ격려해주시는 건 너무 감사하지만자꾸 격려가 질문이 되고 당연히 질문의 수준은 너무 높고그러다 토론의 장으로 이어지고...(임금님이랑 토론이라니 너무 무섭잖아;ㅁ;) 정조의 질문퇴계이황과 율곡이이의 이기론 중 어느쪽이 더 맞는가?지금도 어려운 질문이고국사책에서도 가장 난코스인 부분을유생들에게 어떻게 생각하는지 얘기해보라 함후덜덜ㄷ덜ㄷㄷ 왕이 지켜보고 있다 여기서 대부분의 유생들은 퇴계이황의 학설이 옳다하였다 함.조선시대 당시 붕당은 자신의 정체성이나 다.. 2024. 12. 1. [역사] 탐관오리가 왕실 최측근인데, 목을 칠깝쇼? 1794년 조선에 아주 아주 지독한 흉년이 찾아왔다.안그래도 힘든 백성들은 더 큰 가난과 굶주림에 고통스러워하였고이에 정조는 백성들을 위해 구휼 대책을 시행하기로 한다.구휼 : 빈민이나 이재민에게 금품을 주어 구제하는 것그러나 어딜가나 말 안듣고 비리저지르는 나쁜놈들이 있기 마련.정조는 자신의 정책이 잘 시행되고 있는지 궁금하여전국에 암행어사를 파견!! 그 전에 잠깐 공부!이 당시 암행어사가 나타났다는 소문이 나면 미리 대비할까봐1명씩 순차적이 아니라 15명을 동시파견했었다한다.그래서 한 고을에 두 세 명씩 파견할 때도 있었다고.애니웨이,그렇게 어사 박문수, 어사 이몽룡을 비롯해 1794년 10월-우리가 아는 정약용 또한 암행어사로 임명되어 파견을 나간다(정약용도 암행어사였다니) 암행어사 출두요~!네 이.. 2022. 8. 25. [인물] 조선 최초의 여성의사 김점동 -펌- 한국의 위인김점동은 1876년 서울에서 김홍택이라는 사람의 셋째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여자들을 위한 학교 이화학당이 생겼다는 말을 듣고딸들 중에 가장 똑똑한 셋째딸을 이화학에 보낸다. 이화학당에 온 학생들중에 아버지 손에 이끌려 온 사람은 김점동밖에 없었다고 하니 김홍택도 그 당시 사람치고 상당히 깨어있던 사람인걸로 보인다.1886년 당시 이화학당그렇게 10살의 나이로 이화학당에 들어온 김점동은 이화학당의 설립자인 메리 스크랜턴을 처음 보고 겁을 먹기도 했다고. 당시 서양인들이 아이들을 잡아먹는다는 소문이 있었고자신을 난로에 집어던져 죽이는 게 아닐까?하는 생각도 했었지만 스크랜턴의 친절한 얼굴을 보고 마음을 놓았다고 김점동은 회상했다고 한다. 김점동은 이화학당을 다니면서 영어에 뛰어난 실력을 보였고 .. 2022. 8. 7. [역사] 이성계 주머니에 옥새를 넣어둬, 넣어둬 조선을 세우고 고려의 옥새를 받게 된 이성계.그러나 자신이 무슨 왕이 되냐며 아주 격.하.게 거절한다. 새로운 나라를 세워놓고선 옥새 받기 싫다하다니?! 신하들은 어떻게든 이성계에게 옥새를 주려고이성계 집 문까지 부수고 들어와서는 넣어둬! 넣어둬!옥새를! 넣어둬! 옥쇄를 억지로 막 주려고 함.나이거참! 자꾸 이러면 받을 수 밖에 없잖아! 떼잉쯧!이렇게 밀어부치면 어쩔 수 없이 옥새를 받아야하잖아.라며 이성계는 옥새를 받고.. 아니 어차피 받을 거 그냥 받으면 되지 왜 그렇게까지?라고 할 수 있겠지만고려의 왕자가 아니었기에 왕의 자격이 없었던 이성계는백성들에게 이런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었음 추대를 받아 나는 싫은데, 남들이 시켜서,이것이 또한 천명, 하늘의 뜻이 아니겠냐며 이야기할 수 있게끔민심을 의식.. 2022. 8. 5. 이전 1 2 3 다음